맨위로가기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河東 雙磎寺 眞鑑禪師塔碑)는 통일신라 시대의 승려인 진감선사(眞鑑禪師) 혜소(慧昭, 774~850)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탑비입니다. 887년(진성여왕 1년)에 건립되었으며, 국보 제47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개요:


  • 위치: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쌍계사 경내
  • 건립 시기: 통일신라 887년 (진성여왕 1년)
  • 지정: 국보 제47호
  • 크기: 높이 3.63m, 탑신 높이 2.02m (혹은 2.31m), 폭 1m (혹은 1.035m), 두께 23cm (혹은 22.5cm)
  • 재질: 거북받침돌(귀부)과 머릿돌(이수)은 화강암, 비신은 흑대리석

내용:

  • 진감선사의 생애와 업적, 특히 당나라 유학과 귀국 후 쌍계사를 중심으로 선종을 널리 퍼뜨린 사실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 최치원(崔致遠)이 왕명에 따라 비문을 짓고, 글씨를 썼으며, 전서(篆書)의 제액(題額)도 썼습니다.
  • 비문은 유려한 문장으로, 불교 사상뿐만 아니라 유교, 노장 사상 등 다양한 사상을 담고 있어 당시 지식인들의 사상 경향을 보여줍니다.
  • "도는 사람과 멀리 있지 않고, 사람은 나라에 따라 다르지 않다(道不遠人, 人無異國)"라는 문구가 유명합니다.
  • 비문을 새긴 이는 환영(奐榮)입니다.

특징:

  • 사산비명(四山碑銘): 최치원이 지은 네 개의 탑비명 중 하나로, 문장 연구와 불교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입니다. 다른 사산비명은 만수산 성주사 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명, 초월산 대숭복사비명, 희양산 봉암사 지증대사적조탑비명 입니다.
  • 서체: 해서체(楷書體)로, 구양순(歐陽詢)의 필법에 안진경(顔眞卿)의 필법이 더해진 독특한 서풍을 보여줍니다.
  • 비신은 여러 군데가 갈라져 있는 등 손상된 상태이나, 여러 탁본과 판본이 전해져 비문의 내용은 완전하게 알려져 있습니다.

역사적 가치:

  • 통일신라 말기 불교 선종의 역사와 사상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입니다.
  • 최치원의 사상과 문학 세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합니다.
  • 당시의 서예, 조각 등 예술 양식을 보여주는 귀중한 유물입니다.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기본 정보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이름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로마자 표기Stele for Master Jingam at Ssanggyesa Temple, Hadong
지정 번호47
지정 연월일1962년 12월 20일
소재지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쌍계사길 59, 쌍계사 (운수리)
소유자쌍계사
수량1기
제작 시기남북국 시대
종류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